한국이 바이오 산업 혁신과 의료 주권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본지가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환자 동의를 얻어 21만명의 임상 정보를 수집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지난 9월까지 확보한 인원은 8만명에 그쳐 목표 대비 38% 수준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은 정부가 2032년까지 100만명 규모의 바이오 데이터를 확보해 신약 개발, 정밀 의료, 질병 예측 연구에 활용하겠다며 지난해 본격 착수한 범부처 사업이다. 우선 2028년까지 국비 6039억원을 투입한다. 국내 건강검진 기관과 상급 종합병원에서 개인 동의를 받아 혈액·조직 등의 생체 검체를 수집하고, 국내 기업 및 연구 기관이 유전체를 분석한다. 생체 정보가 앞으로 국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의 핵심 자산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뒤늦게 추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