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챗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개발사 오픈AI는 스스로 ‘도덕적 문지기’ 역할을 자처했다. 폭력적이거나 성적인 질문에는 “규정상 답변할 수 없다”며 단호히 선을 그었다. 유해한 콘텐츠 생성을 막는 ‘윤리적 가드레일’까지 만들어 깨끗한 온라인 세상을 이끌 기세였다. 이랬던 그들이 최근 정책을 바꿨다. 성적 대화나 성인용 콘텐츠 개발을 허용하겠다며 스스로 만든 빗장을 풀었다. 오픈AI는 이런 변신을 “우리는 도덕 경찰이 아니다”라며 합리화했다.
▶예전에 할리우드에도 비슷한 문지기가 있었다. 1934년부터 30여 년간 영화계를 지배한 ‘헤이스 코드(Hays Code)’다. 정부 검열을 피하려 만든 이 자체 규정은 배우들의 긴 키스를 금하고, 범죄자가 반드시 파멸하는 결말을 강요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관객의 욕망이 들끓자, 금기의 벽은 서서히 허물어졌다. 특히 유럽에서 ‘과감한’ 영화들이 쏟아져 들어오고 TV와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헤이스 코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