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고강도 규제를 내놓자, 시장에선 “전세 수요자들이 최대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수도권에 새 아파트 공급이 감소하면서 이미 전세 매물이 줄어든 상황에서, 이번 대책 여파로 전세 대란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것이 핵심이었던 6·27 부동산 대책 때만 해도, 토지거래허가구역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않은 경우엔 갭투자(전세 낀 매매)가 가능했다. 하지만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되면서 광범위한 지역에서 갭투자가 막히게 됐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수도권에서 전세 매물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