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은 자국민 피해가 커지자 캄보디아 단체 금융 제재, 외교적 압박 조치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한국 정부 대응은 한발 늦거나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과 영국은 지난 14일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후이원 그룹’을 자금 세탁, 인신매매 조직으로 지정하고 100여 계열사와 가상 자산 거래망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두 나라는 범죄 수익으로 사들인 부동산과 비트코인을 동결하고, 주요 인물은 기소도 했다. 반면 한국 정부는 별도 제재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금 세탁이 주로 달러화를 기반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실효성이 낮다는 이유가 있겠지만 범죄 조직들에 대한 ‘맞춤형 제재’ 등을 고안하는 등 외교 압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