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5년 이후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를 검토하자, 자동차 부품 업계가 속도 조절을 요구하고 나섰다. 수천 개 부품기업과 11만명이 넘는 종사자들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 과도한 목표 설정이 산업 생태계 붕괴와 대규모 고용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사 모임인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논의 중인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지난달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2035년 이후 내연차 판매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힌 데 따른 공동 대응 차원이다. 이택성 KAICA 이사장은 이날 “1만여 개 국내 부품사 중 45.2%가 내연기관 관련 부품을 생산하고 있고, 해당 기업 종사자는 11만5000명에 달한다”며 “부품업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목표를 견지할 경우 부품 산업 공급 체계의 심각한 영향과 대규모 고용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