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소득이 전년 대비 늘어 소득 계층이 상승한 우리나라 국민이 전체 5명 중 1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3년 소득 이동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소득 분위(1~5분위)가 전년 대비 한 계단 이상 상승한 사람은 소득이 있는 15세 이상 인구의 17.3%에 그쳤다. 2022년엔 1분위(소득 하위 20%)였다가 2023년엔 2분위(하위 20~40%) 등으로 올라간 경우를 뜻하는 이 비율은 사회 계층 이동성을 따지는 지표다. 2020년 18.2%였던 이 비율은 2021년(17.6%)부터 3년 연속 하락했다. 2022~2023년 소득 상향 비율은 관련 통계가 처음 집계된 2017~2018년 이후 가장 낮다.
최근 경기 둔화 여파로 기업들이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 채용을 늘리면서 계층 이동이 어려워졌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 이후 경기 둔화로 대기업 정규직 등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이 비정규직을 전전하고 이후 더 나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채 원래의 위치에 머무른 결과”라고 했다. 2023년 전체 임금 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율은 37%로 10년 전(32.2%)보다 4.8%포인트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