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업 투자 때 산재 여부 대폭 반영

오늘의뉴스

국민연금, 기업 투자 때 산재 여부 대폭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 기업 투자를 결정할 때 산업재해 발생 여부를 평가에 대폭 반영한다. 그동안은 투자 대상 기업에서 발생한 산재 사망이 같은 규모 기업이나 같은 업종 평균보다 높은지 정도만 확인했지만, 앞으론 ▲연간 사망자 2명 이상 ▲중대 사고(위험 물질 누출·화재·폭발 등) 발생 ▲산재 발생 은폐 또는 최근 3년간 2회 이상 미(未)보고 여부 등에 대한 사항도 따져보기로 했다. 신규 투자 기업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이미 투자한 기업에 대해선 중대 재해 발생 시 결과적으로 투자를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도 6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내 주식 수탁자 책임 활동 강화 방안’을 진행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가 올 9월 내놓은 ‘노동 안전 종합 대책’에 포함됐던 내용인데, 이를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절차를 밟은 것이다. 국민연금은 재무적 요소뿐만 아니라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평가 등을 반영해 국내 상장 기업 투자를 결정하는데, 이 중 ‘ESG 평가’에서 산재 관련 비율을 확대하게 된다. 현재는 사고 1회 발생 시 산업 안전 배점의 10%를 감점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33%를 감점하도록 했다.

0 Comments